Home > 한복이야기 > 한복의구조

한복의구조

한복의구조

한복의구조적특징

한복은 원래 의고 분리의 알타이계 복식을 근간으로 이루어진 특수한 복식제도입니다.
상의와 하의가 나누어져 있어 여자는 저고리와 치마, 남자는 저고리와 바지로 구성됩니다.
저고리는 길, 소매, 깃, 동정, 고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자의 경우 끝동이 달리기도 합니다.
홑.겹.솜.누비 저고리는 소재의 두께와 재봉법에 따라 나눈 종류이고,
저고리 각 부분에 다른 색의 감을 쓴 데에 따라 민저고리, 반회장저고리, 삼회장저고리로 나뉘고 있습니다.
여자 바지는 치마와 단속곳 속에 입는 속바지로 되어 모양이 남자 바지와 다르며
조선후기에는 관고의 밑을 따로 떨어지게 만들어 여러 계층에서 모두 입었는데 그 종류로는 바지, 너른바지, 고쟁이, 단속곳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치마는 유동적인 곡선미가 뛰어난 옷으로 허리부분에서 잘게 주름을 잡아 볼륨감을 살려 항상 풍성하게 한 특색이 있어 한복 특유의 매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복의저고리

남자용
겹저고리는 저고리의 모양이 여자 저고리의 모양과 비슷하고 명칭도 같습니다.
그러나 치수가 크고 모양이 여자 저고리와 같이 예쁜 곡선으로 되어 있지 않고 평평합니다.
치수가 넉넉하여 풍성하게 보이며 압박감을 주지 않아서 입으면 매우 편합니다.

여자용
저고리의 구성은 몸체를 이루고 있는 몸판, 깃, 여밈 부부의 섶, 팔 부분의 소매통 등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변화의 폭이 심한 곳으로 저고리 길이와 도련, 소매의 형태를 들 수 있습니다.
섶은 저고리의 좌우에 각각 달리는데, 기능적으로 양쪽의 앞을 여미는 여분이 되며 미적으로도 변화의 선으로 형태미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깃은 앞몸판에서 뒷몸판까지 연결되어 목둘레를 장식하며 한국 복식의 평태를 인식할 수 있는 특징중의 하나입니다.
옷고름은 기능적으로 의복을 정돈하는 목적으로 사용하였으나 후대레 갈수록 저고리의 길이는 짧아지고 옷고름은 점차 길어지면서 장식적인 역할을 하였습니다.
또한 동정은 의복의 관리면에서 세탁하기에 편리한 방법으로 이용된 기능적인 역할을 하는 부위로 저고리의 단정함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한복의치마

치마는 여자를 위한 옷입니다.
바지와 대조적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치마는 성인 여성과 여자아이용이 있습니다.
치마는 저고리의 아래에 입는 여성의 하의로 형태는 치마의 몸체와 허리띠, 끈으로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치마의 폭은 평면의 천을 이용하여 그대로 쓰지만 상부에 주름을 잘게 잡아 허리띠의 속으로 집어넣습니다.
입을 때는 앞에서 둘러입고 뒤에서 한쪽으로 여며지게 하여 끈으로 묶으며 치마의 폭은 그대로 풍성하게 둥근 분위기를 나타냅니다.
특히 치마의 형태는 잘게 잡혀진 주름이 아래로 수직적인 분위기를 주며 허리띠의 색을 흰 것으로 하여 치마색을 돋보이게 합니다.
치마는 폭이 넓어 우리나라의 온돌생활에 적합한 기능성이 있는 반면 뒷중심 여밈이 열리게 되어 있어 활동하기에 편리할 뿐만 아니라 미적으로도 기품있고 우아한 멋을 더해줍니다.
요즘의 치마는 주로 세폭의 주름을 잡아 어깨 허리를 달아 입는데 만드는 방법이나 때에 따라 홑치마,겹치마, 누비치마가 있습니다.
그리고 모양에 따라 뒤를 여미고 입는 풀치마와 뒤가 막힌 통치마가 있습니다.
그밖에 예복용인 스란치마와 대란치마, 일할 때 입는 앞치마가 있으며, 겉치마 밑에 받쳐 입는 속치마와 무지기치마가 있습니다.

한복의바지

고의(拷依)라고도 불리워지는 바지는 남성들의 외의(外依)로 삼국시대 이전부터 착용되었습니다.
저고리의 변천과 함께 바지의 형태도 북방 한대 기후의 수렵 유목에 적합하도록 활동성이 요구되던 바지폭이 좁은 궁고(窮拷)에서 점차 폭이 넓은 대구고(大口拷)로 바뀌었습니다.
고구려 벽화에 나타난 바지는 남녀 모두의 기본적인 하의로 겉옷이나 치마 아래에 입었고, 신분에 따라 바지의 폭, 길이 ,색 등을 구분한 것으로 보입니다.
남자의 경우 바지는 계속 겉옷으로 착용되어 조선시대에 이르러 양각이 분리된 형태, 앞뒤가 절개된 형태, 사폭(斜幅)으로 구성된 형태를 보이면서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또한 신장을 중심으로 폭을 잡아 제작되기 때문에 체형에 꼭 맞는 서양의 바지보다는 여유가 많아 좌식 생활에 편리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한복의마고자

원래 마고자는 만주인의 의복이었으나 대원군이 만주 보정부에서 유거 생활에서 풀려나와 귀국할때 입고 돌아오면서 널리 착용되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시대 말기 이후에 특수계층의 집안에서 방한을 겸한 사치폭으로 등장했었습니다.
마고자는 일명 "덧저고리"라고도 불리며 용도에 따라 재봉법이 다르고 방한용으로 남녀가 같이 널리 착용 되고 있으며
남자에 있어서 저고리 위에 조끼를 입고 그 위에 덧입는 옷이므로 옷의 모양을 갖추기 위해서 입기도 합니다.
실내에서 방한용으로 입는 덧저고리였는데 요즘은 외출용으로 쌀쌀한 늦봄과 이른 가을에 입으므로 치마 저고리의 감과 색이 잘 어울리는 것을 선택하여햐 합니다.
형태는 저고리와 같으나 깃과 섶 옷고름이 없습니다.

한복의두루마기

두루마기는 갑오경장 이후로 등장하였습니다.
두루마기에는 성인남자, 성인여자, 남자아이용이 있습니다.
저고리와 바지 위에 입는 두루마기는 고구려 벽화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미 상고시대부터 입어온 우리의 민족복입니다.
추위를 막기 위한 방한용으로 착용하였으나 후대에 내려오면서 예를 갖추기 위한 의례복으로 그 착용 범위가 넓어졌습니다.
벽화의 두루마기는 저고리와 마찬가지로 깃, 소매, 부리, 도련의 선을 두르고
저고리의 맺음과 중복되지 않도록 두루마기의 띠는 뒤중심, 혹은 옆허리 주변에서 매도록 하여 기능적인 구조의 지혜로움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두루마기는 고려시대의 백저포(白苧砲)로 이어져 왕실과 귀족, 관료 및 평민의 평상복으로 착용되었으며
조선시대에 와서는 보편적으로 착용한 겉옷으로서 그 가짓수도 매우 다양하여
왕과 신하의 제복을 비롯하여 조복(朝服) 상복(喪服) 뿐만 아니라 사대부의 직령포, 단령포, 창의, 중치막, 펀릭 등과 같은 각종의 두루마기 형태로 발달하였습니다.
특히 선비사회의 상징이랄 수 있는 옥색의 이 도포는 옷이 갖고 있는 풍성함과 너그러움, 권위의 장엄함마저 깃들어 있어 지고한 선비의 위엄을 느끼게 합니다.
성인 남자 두루마기를 웃옷으로 입게 된 것은 고종 31년 이후의 일입니다.백궁의 통상 예복으로 입게 된 것이 오늘날 남자 두루마기의 시초입니다.
그 후 두루마기는 남자 한복의 웃옷으로 착용되어 왔으며 밖에서는 예복 또는 방한복으로 사용되는 유일한 한복의 웃옷이었습니다.
또 두루마기는 실내에서 제사를 지내거나 세배할 때 착용합니다.
두루마기의 종류로는 박이 두루마기(여름용)과 홑단 두루마기(춘추용)이 있습니다
홑단 두루마기는 등바대, 겉바대를 대고 섶에 다른 단을 댑니다.도련, 소매부리의 단을 꺽는데 소매부리는 2~3cm 도련은 5~6cm 안으로 단을 접어 놓고 공그릅니다.
박이 두루마기는 홑단 두루마기와 비슷한데 다시 뜯지 않도록 아주 꿰매는 옷이라서 바느질은 박음질과 감침질로 합니다. 보통의 박이 두루마기는 베나 모시로 짓습니다.
성인 여자용 두루마기는 갑오경장 이후로 부터 입게 되었습니다.
개화기 이후 옷의 간소화와 여성의 외출이 잦아지면서 내외류 쓰개류였던 장옷, 쓰개치마 등 이 점차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남자들과 같이 봄,가을에는 겹 두루마기, 여름에는 홑 두루마기 겨울에는 솜 두루마기를 입었었지만 경제적 부담과 손질의 번거로움 때문에 많이 보급되지는 못하였습니다.
하지만 근대에 들어서는 섬유의 발달로 손질이 간편해져서 웃옷이나 방한복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예복으로서의 한복

한복은 예복으로서도 가치가 높다

활옷

원삼과 같이 궁중 예복이었으나 혼례복으로 민가에서도 사용하였다
지금도 혼례식 때나 폐백할 때는 입는다.
연꽃 모란 봉을 수놓고 남색 안을 넣어서 만든다
현재 폐백 드릴때 신부의 옷으로 남아 있다.

당의

당의는 조선시대 궁중에서 여자들이 입었다
소례뽁으로 저고리를 입은 위로 덧입었다
보통 겉은 포록이나 연두색으로 하고 안은 다홍색을 넣으며 자주색 고름을 달고 소매 끝에는 끝동과 같이 흰색 거들지를 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여기에 황후는 금실로 용을 수놓은 흉배를 가슴과 등 그리고 양 어깨에 달아 입었다

원삼

원삼은 본디 궁중에서 여자들이 대례복으로 입던 옷이다
조선시대에는 궁중 예복으로 공주의 대례복이었다. 황후는 깃이 황금색인 황원삼을 왕비는 깃이 다홍색인 황원삼을 공주나 옹주는 깃이 녹색인 녹원함을 입었었다
원삼이 일반화 되면서 혼례 때 신부복으로 허용되어 요즘도 재례식 혼례나 회갑 등에 입는다
그리고 원삼은 예복이기 때문에 손을 얌전히 감추기 위해 소매 끝을 흰색천을 덧대어 길게 한 것이 특징이다.